본문 바로가기

창업&제테크/1인 법인 대표의 현금 흐름 관리법

11. 월별 자금 계획표 작성법 – 1인 법인 회계 실무 가이드

▣ 1인 법인 운영의 핵심, '현금 흐름표'

 1인 법인을 운영하면서 회계를 외부에 맡기더라도, 자금 흐름과 월별 지출 구조에 대한 이해는 대표 스스로 갖추어야 합니다. 매출은 나는데 통장 잔고는 줄어들고 있다면, 지금이 바로 자금 계획표를 직접 만들어야 할 때입니다. 특히 법인세, 부가세, 급여, 외주비, 임대료 등 반복되는 지출은 사전에 구조화된 흐름표 없이는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회계 지식이 없는 대표도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실전 중심의 '월별 자금 계획표 작성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회계 몰라도 돈 흐름은 잡아야 합니다”

 

1. 자금 계획표란 무엇인가?

 자금 계획표는 말 그대로, 매월 들어올 수입과 나갈 지출을 예측하고 정리한 표입니다. 일반적인 회계장부나 세무 보고서와 달리, 자 금 흐름 중심으로 만들어지며 다음을 목적으로 합니다:

  ○현금 유동성 확보

  ○ 세금·급여 등 고정 지출 대비

  ○ 매출 시기와 지출 시기의 불균형 조정

특히 1인 법인의 경우 고정비용이 전체 지출의 60~80%를 차지하므로, 월별로 얼마나 유보금이 필요한지를 사전에 계산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2. 자금 계획표 구성 요소

 아래는 자금 계획표의 기본 구성 항목입니다:

항목 예시 내용
매출 예정액 고객사 A 납품금 5,000,000(15일 입금 예정)
고정 지출 급여 2,000,000/ 임대료 700,000/ 통신비 100,000
변동 지출 외주비 1,500,000/ 마케팅비 800,000
세금 항목 부가세 1,200,000(1/4/7/10) / 법인세 2,000,000(3월 납부 예정)
유보금 목표 3,000,000원 유지
순현금 흐름 수입 지출 후 잔액 계산

 

해당 항목들을 구글 스프레드시트나 엑셀로 정리하면 시각적으로도 관리가 쉬워집니다.


3. 실전 작성 순서: 5단계 접근법

 1) 지난 3개월 자금 흐름 정리

  ○ 실제 입금일과 지출일 기준으로 데이터를 정리하세요. 감이 아닌 시점 기준이 중요합니다.

 2) 월별 수입·지출 예측 입력

  ○ 정기 매출, 프로젝트 수입, 기타 부수입을 나눠 기록하고, 고정 지출은 빠짐없이 기입합니다.

 3) 세금 납부 달 체크 및 적립액 설정

  ○ 부가세, 법인세가 발생하는 달은 별도 표시하고, 납부금액을 분기별로 분할 적립하는 구조를 만듭니다.

 4) 지출 일자 조정 전략 수립

  ○ 급여·외주비·카드 결제일 등을 수입일 이후로 조정하거나, 지출 분산 구조로 바꿉니다.

 5) 예상 잔액 기반 유보금 검토

  ○ 목표 유보금(보통 고정비의 2~3)이 유지되는지 월별로 시뮬레이션해 봅니다..


4. 자금 계획표의 자동화 팁

 단순한 작성에서 멈추지 않고, 월별로 자동 업데이트되는 구조를 만들면 실무에 큰 도움이 됩니다.

  ○ 구글 스프레드시트 이용: 공유 가능하고, PC/모바일 모두 실시간 업데이트

  ○ 조건부 서식 적용: 잔액이 마이너스일 경우 셀 색상 자동 변경

  ○ 함수 활용: IF, SUMIF, DATE, EOMONTH 등으로 세금 납부일 자동 계산

  ○ 시트별 관리: 월별 시트를 만들어 연간 흐름을 한눈에 파악

이러한 자동화는 반복작업을 줄이고, 실수 확률을 크게 낮춰줍니다.

 

★ 회계 지식이 없어도 흐름은 이해해야 한다

 법인의 운영은 수익률보다 흐름의 안정성에 달려 있습니다. 회계를 외주에 맡긴다 해도, 대표 스스로 자금 흐름을 읽고 대응할 수 있어야 위기 상황을 피할 수 있습니다. 자금 계획표는 그 시작점이자 핵심 도구입니다. 지금 당장 지난달의 흐름부터 정리해 보고,, 다음 달 계획을 시각화해 보세요.. 운영의 불안이 예측 가능한 안정으로 바뀌게 될 거예요.